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제주 메밀을 활용한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을 위해, 2025년 증숙(찌기) 공정을 적용, 영양성과 가공성이 향상된 메밀 분말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제주는 2024년 기준 메밀 재배면적 1,858ha, 생산량 1,249톤으로 전국 최대 주산지이나, 대부분 원물 형태로 유통되고 있다. 도내 가공 인프라 또한 충분하지 않아 지역 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메밀은 가열 과정에서 쓴맛의 원인인 퀘르세틴(Quercetin)이 증가하고, 글루텐이 없어 반죽 점성이 약해 가공 중 쉽게 끊어지거나 굳는 특성으로 제품화 과정에서 맛과 식감을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다.
농업기술원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제주에서 재배된 국내
장우혁, 16세 연하 배우 오채이와 사적 만남 인정... "결혼까지 생각, 탁재훈에게는 절대 안 보여줘"
4시간전 메디먼트뉴스
박성광 아내 이솔이, '암 투병 극복 후' 감기 몸살로 건강 악화 근황... "모든 일정 스탑, 걱정된다"
4시간전 메디먼트뉴스
KBS, 고(故) 이순재 추모 특선 마련... 유작 '개소리'와 '드라마시티' 긴급 특별 편성
4시간전 메디먼트뉴스
공효진, '임신 초기' 이하늬의 프로 열연에 감탄... "진수성찬 앞 입덧 참고 해내는 모습 놀라워"
4시간전 메디먼트뉴스
김혜수, 55세 나이 잊은 '동안 미모+늘씬 각선미' 과시... '시그널' 후속작 기대감 증폭
4시간전 메디먼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