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게임의 역사, 특히 온라인게임이 부상하기 이전의 초창기 역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회전당구장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전자오락/게임을 플레이하는 오락실은 아니었지만, 동전을 넣고 플레이하는 오락장치가 가득한 일종의 아케이드 플랫폼으로서 그 원형적인 아케이드가 사행성게임을 하는 곳이었다는 사실은 한국 게임 역사에 있어 유의미한 지점이라 하겠다.
여기서 "사용료를 유기기구에 투입하거나 지불하여 일정한 시간 유기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비사행성 전자식 유기기구"라는 '전자유기시설'에 대한 정의가 등장하는데, 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바로 그 오락실의 게임기 - 동전을 넣고 작동시켜 게임을 플레이하는 - 와 정확히 맞아 떨어진다.
실제 1960년대에는 앞서 언급했던 회전당구 파동도 있었고, 1971년에는 아케이드이큅먼트 - 슬롯머신 등 도박성 오락장치류 - 를 둘러싼 논란으로 인해 유기장법 시행령을 통해 영업 가능한 공중유기시설 중 아케이드이큅먼트를 삭제한 적도 있어, 당시 한국 사회에 사행성 오락장치들이 암암리에 운영되고 있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당시 전자오락실에서 청소년들이 용돈을 탕진하는 것을 사행성이라 보는 등 - 사행성 요건상 게임의 결과가 운으로 결정되어야 하는 것인데, 당시 청소년들이 즐겼던 "갤러그" 같은 게임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 사행성이라는 개념이 모호한데가 있었고, 이미 상당한 규모로 전자오락실들이 전국에서 성업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현실성이 떨어지는 조치였다 할 수 있다.
#사행성 #게임 #역사 #한국 #사회 #문제 #법령 #전자오락실 #게임물 #청소년 #유기장 #개정 #조치 #변천사 #당시 #유기기구 #요건상 #반대항 #성인용 #유기장법 #오락실 #초창기 #플레이 #아케이드 #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