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평등의 시대, <자본>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 2025.04.07 11:23
  • 16시간전
  • 프레시안
불평등의 시대, <자본>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SUMMARY . . .

과학기술의 발전 양상에 관해서는 일찍이 마르크스도 자본 운동의 원동력으로서 주목한 바 있다.

알량한 학맥, 인맥 카르텔이 더는 기능할 수 없게 된 지금도 마르크스 연구자들은 여전히 마르크스를 새롭게 이해해갈 기회들을 스스로 차단하며 과거의 낡은 그물망 구조에 갇혀있는 것 같다.

이 골치 아픈 신용화폐를 자본의 운동 밖으로 밀어내버릴 수는 없는지, 만일 밀어낸다면 세계 경제는 문제없이 돌아갈 수 있을 것인지 등 갖가지 의문점들을 논리적이면서도 지루할 만큼 친절하게 파헤치며 규명해낸다.

그러나 자본주의적 생산 구조와 자본의 운동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고는 그 어떤 대책도 우리를 이 현기증 나는 열차에서 구조해내지 못할 것이다.

그 운동 구조를 이해하려는 노력 대신 그저 손쉬운 인류애적 처방들로 땜질하려 할 때 자본은 우리를 더욱 곤혹스럽게 할 것임을 마르크스는 실증적으로 고찰해낸다.

#자본 #마르크스 #운동 #자본3" #자본" #특유 #학문 #연구자 #세계 #자본주의적 #한계 #구조 #그대 #부분 #결코 #인정 #제대 #변증법적 #과정 #전개 #번역 #학문적 #참여 #자본' #다루

  • 출처 : 프레시안

원본 보기

  • 프레시안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