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기획 [스트레이트] '뉴라이트'가 삼킨 '여순'

  • 2025.09.21 08:00
  • 2시간전
  •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뉴라이트'가 삼킨 '여순'

이승만 정부 수립 직후, 여수에 주둔하던 14연대에 내려진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 일부 군인들은 동족에 총을 겨눌 수 없다며 명령을 거부했고, 순식간에 전남 동부 지역을 장악했다. 이승만 정부는 공산 세력의 계획적인 반란이라고 규정하고 대대적인 토벌 작전에 돌입했다. 영문도 모른 채 부역자로 몰린 지역 주민들은 무자비하게 학살됐다. 극단적인 반공 이데올로기 속에 피해자들은 오랜 세월 숨죽여 지내야 했다. ‘여순 사건’은 그렇게 입 밖으로 꺼낼 수 없는 주제였다.

그로부터 60여 년이 지나서야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을 ‘국가폭력’으로 규정했다. 그리고 2021년 국회는 마침내 ‘여수순천 10·19 사건’ 특별법을 통과시켰다. 피해자들은 이제라도 정확한 진상규명과 명예 회복이 이뤄질 것이라 기대했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본격 가동된 진상조사 기획단은 그 구성부터 기대를 무너뜨렸다. 기획단이 발주한 진상조사 보고서들은 과거 반공 사관을 그대로 답습했고, 기본적인 사실관계조차 어긋난 경우가 다반사였다. ‘스트레이트’는 문제의 보고서들을 입수해 분석했다. 또 여순 사건 진상규명이 가로막힌 근본적 원인을 추적했다.

지난해 6월, 경기도 화성 아리셀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 23명의 젊은 노동자들이 숨졌는데, 그중 18명이 이주노동자였다. 가까운 출입문은 정규직만이 열 수 있었고, 이런 구조적 차별 속에 이주노동자들은 목숨을 잃었다. 지난 7월 포항에선 기록적인 폭염 속에 제초 작업을 하던 네팔 이주노동자가 쓰러져 숨졌다. 가장 위험하고, 가장 열악한 노동 현장에 내몰린 이주노동자들. 이들의 죽음을 추적한 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숨진 이주노동자가 1년에 3천 명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재 사망률 역시 내국인 노동자들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한국에 건너온 이주노동자들. 이들이 맞닥뜨린 현실은, 한 번 일할 곳이 정해지면 고용주의 허가 없이는 마음대로 일터를 옮길 수도, 일을 그만둘 수도 없는 차별적 굴레였다. 스트레이트는 위험천만한 작업 환경, 불합리한 처우를 감내할 수밖에 없는 이주노동자들의 현실과 함께, 보다 나은 노동 환경을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봤다.

  • 출처 : MBC
  • MBC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