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주요 실종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종의 드론에서 활용 가능한 수색 항로를 제작하고, 유관기관에 배포해 실제 실종사건 발생 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수색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도내 공공용 드론을 대상으로 드론 성능점검 패드를 활용한 성능 진단 시스템도 운영한다.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 드론의 유지보수 계획과 활용 방안을 제시해 드론의 안정성과 운용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제주가 드론특구 3회 연속 지정을 달성하고 드론 산업 선도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고 상용화에 힘쓰겠다"며, "드론 기반의 행정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도민의 삶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드론 #기반 #대상 #활용 #수색 #제주 #제작 #배? #체험 #달성 #유선 #유지보수 #움직임 #힘쓰겠 #기체 #전용 #규모(1,283km2) #제시 #안정성 #공공용 #성능점검 #산업 #본격적인 #개별 #기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