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한 바퀴> 이만기, 울산의 핫플 ‘멧돼지 떡갈비’를 맛보다!

  • 2024.06.13 15:56
  • 5일전
  • KBS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공업 도시 울산, 그 오른쪽 끝에 동구가 있다. 바닷길을 따라 오랫동안 따뜻함을 간직해 온 울산광역시 동구로 가 275번째 걸음을 옮긴다.

특별하지 않아서 특별해지는 것들이 있다. 변치 않고 있어 주는 것만으로 소중해지는 장소, 전하동에서 오랫동안 조선소 사람들의 쉼터가 된 만화방을 찾았다. 이곳이 오래도록 살아남을 수 있었던 비결은 옛날 방식대로 가게를 운영하는 것. 그리고, 손님들을 정성스레 맞이하고 편안한 장소로 남아있는 것이다. 오로지 손님들을 위해 추억의 장소를 지키며, 발로 뛰는 수고로움을 감수하는 울산 동구 조선소 앞 만화방이 반갑다.

울산 동구의 해안선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몽돌(둥근 돌) 해변으로 유명한 주전마을이 있다. 파도와 몽돌의 연주 소리를 벗 삼아 마을을 걷던 동네 지기, 이만기가 만난 것은 한창 돌미역을 손질 중인 사람들. 윤기 흐르는 돌미역은 주전마을 앞바다에서 김황자(76), 김영희(71) 두 해녀가 직접 채취한 거란다. 두 사람은 팔 남매 중 셋째, 다섯째로 자매 사이다. 각자의 결혼으로 떨어져 살았던 것도 잠시, 요즘은 바다에 들어갈 때도, 잡아 온 것들을 손질할 때도, 밥을 먹을 때도 늘 함께하는 단짝이다. 물질할 때만큼은 경쟁자가 따로 없지만, 물 밖에선 주거니 받거니 손발 딱딱 맞는 찰떡궁합 자매 해녀의 짠 내 나는 삶의 이야기를 들으러 가본다.

성끝마을에서 바닷길을 따라 걷다 보면 작지만 강력한 매력을 가진 섬, 슬도를 만나게 된다. 파도가 바위에 부딪치는 소리가 거문고 소리처럼 들린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슬도는 최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울산 동구의 핫한 관광지다. 자연이 들려주는 선율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방법은 사운드워킹. 사운드워킹은 자연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생태 감수성을 회복하는 새로운 걷기 여행 방법이다. 바람이 풀을 어루만지는 소리와 파도가 돌을 쓰다듬는 소리까지 모두 빼놓지 않고 들을 수 있 다.

2024년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강소형 잠재관광지, 슬도의 매력에 풍덩 빠져본다.

꿈을 꾸는 데 나이가 있을까. 쉰아홉의 나이에 꿈을 조각하는 이유충(59) 씨가 있다. 낮에는 조선소로, 밤에는 공방으로 출근하는 그는 어렸을 때부터 화가가 꿈이었다. 얇은 합판에 확대한 사진이나 그림을 붙이고 칼과 망치로 세심하게 조각하면 완성된다는 합판 그림. 그렇게 화가의 꿈은 유일무이 합판 그림 조각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발전했다. 정년퇴직을 앞둔 그의 꿈은 이제 합판 조각의 매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것이라는데. 그에게 꿈을 이루게 해 준 합판 그림 조각의 매력은 과연 무엇일까?

금계국이 활짝 핀 고즈넉한 시골길을 걷다 모자가 함께 운영하는 식당을 만나게 된 동네 지기. 20년 전, 빠듯한 살림에 자식들 뒷바라지를 위해 식당을 시작했다는 어머니 김송배(64) 씨. 식당의 주메뉴는 멧돼지 떡갈비다. 메뉴가 생소해서인지 식당은 개업 초기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고 인기 맛집이 됐다고 한다. 이제 든든한 아들까지 옆에 있으니 승승장구할 일만 남았다고 생각했을 때, 어머니에게 큰 병이 찾아왔다. 다행히 건강을 되찾아 다시 함께 일하는 모자(母子)지만, 어머니의 눈엔 아들이 여전히 부족한 점투성이다. 서로가 있어 든든한 어머니와 아들의 동행을 따라가 본다.

울산의 대표 관광 명소이자 동구 주민들의 산책로로 유명한 대왕암 공원.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만나게 되는 건 100년 역사를 자랑하는 해송 숲이다. 해송 숲에 감탄하며 걷다 이마에 축구공을 올린 채로 몇 시간이고 대왕암공원을 걷는다는 이용선(70) 씨를 만난다. 짧은 인연을 뒤로하고 향한 곳은 바다 위로 이어진 303m의 출렁다리. 대왕암공원의 출렁다리는 울산 최초의 출렁다리로, 울산 12경 중 하나인 대왕암공원을 즐길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다. 출렁다리 위에서 해송 숲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대왕암공원과 에메랄드빛 바다를 만끽한다.

대왕암공원의 출렁다리 건너편에도 숨은 풍경 맛집, 고늘 지구가 있다. 동구의 주민들도 잘 모른다는 그곳에서 50년 넘게 살고 있다는 최성분(77) 할머니를 만난다. 남편이 조선소에 취직해 회사를 다니는 동안 그녀는 무작정 횟집을 차렸다. 내륙지방에서 살다 와 바다를 본 것도, 생선을 잡는 것도 처음이었지만 밤낮없이 손질 공부부터 했다는 어머니. 노력에 대한 보답이었을까. 그 후 횟집은 35년 넘게 조선소 사람들의 맛집이 되었다. 이제는 힘에 부쳐 3년 전 장사를 접었다는 어머니는 요즘 바닷가에서 홀로 시간을 보내는 일이 잦아졌다. 그동안 바쁘게 살아서 몰랐을까. 먼저 떠나보낸 남편의 빈자리가 유독 크게 느껴진단다. 울산 동구의 숨겨진 비경과 함께 따뜻한 정이 넘치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빽빽하게 들어선 공업 단지 속 숨은 따스함이 있는 동네. 드넓은 바다가 다정하게 저마다의 삶을 감싸주는 울산 동구의 이야기는 6월 15일 토요일 저녁 7시 10분 편에서 공개된다.

  • 출처 : KBS
  • KBS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