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서 발생한 중학교 교사 사망 사건을 계기로 교육활동 보호 강화 방안 마련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인 가운데, 교사노조에서는 학교 민원대응팀 전문인력 확대 필요성을 거듭 제기했다.
제주교사노조는 최근 열린 제주도교육청의 '교육활동 보호 강화방안' 관련 정책 토론회와 관련해 14일 입장문을 내고, "교육활동 보호 강화 정책은 제주도교육청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원의 개인 연락처 공개 금지 원칙은 민원 대응 문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며 "연락이 필요한 경우에는 근무시간 내 학교의 공식적인 연락망을 통해 학생-학부모와 소통하되, 상담·방문 사전 예약제를 병행하고 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에 대해서는 관리자가 충분히 인지해 문제 발생 시 즉시 개입해 교사의 교육활동을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사노조는 "교사와 학생의 교육활동 중에는 교사가 민원이나 상담에 응하지 않도록 하여, 민원대응팀이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교실 내 전화의 경우 외부에서 직접 연결할 수 없도록 하고 대표전화를 통해 연락이 가능하게 하며 학교 내 모든 전화의 수신과 발신에 녹음 기능과 민원 관련 경고 문구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활동 #보호 #교사 #강화 #민원대응팀 #학교 #제주도교육청 #학생 #교사노조 #정책 #발생 #체감 #민원 #개입 #중학교 #강화방안 #전화 #입장문 #문제 #민원이나 #사망 #병행되어야 #계기 #가능 #대응